Hardware
Hope This Helps.
LVM
1) 고려사항
• 파일시스템 확장시, 일시적으로 파일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음.
• 사용자가 체감이 못할 수도 있으나, 확장동작 알고리즘상 짧은 시간 파일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가 있음.
• 파일시스템 확장시, 확장된 영역에 대한 메타데이터 갱신 / 생성 / 관리작업으로 , 디스크 I/O가 증가하며, 이는 성능 저하 발생 가능성이 있음.
• 신규 확장영역에 대한 메타데이터 연관 작업으로 인한 디스크 I/O 증가로 인하여, CPU / Memory의 사용량이 증가
2) 권장사항
• 단계적 확장 권장 - 정해져있는 확장 크기는 없으며, 모니터링을 통해 단계적으로 확장
• 1TB 확장시, 100 GB 확장 → 디스크 I/O 및 CPU/Memory 점검 → 특이사항 없으면, 100 GB 확장
• 최대한 I/O가 없는 시간대에 진행
• 파일시스템 확장시, 작업 진행간에 errpt 확인(모니터링)
1) 파일시스템 생성단계
▪ Volume Group 생성 (Physical Volume의 Group)
· ex) hdisk1, hdisk2
▪ Volume Group 내의 Logical Volume 생성
▪ Logical Volume과 파일시스템 연결작업(Mount Point 생성)
2) VG 생성 명령어
▪ #mkvg -S -s 256 -y testvg hdisk1 hdisk2
· -S : Scalable Volume group으로 생성.
· -s : PP size를 256으로 지정
· -y : Volume group 이름
· hdisk1 hdisk2 : Volume group에 종족될 Physical Volume.
※ 아래의 명령어는 "testvg" 볼륨그룹 생성정보.
2) LV 생성 명령어
▪ #mklv -t jfs2 -y test_lv testvg 1G
· -t : 파일시스템 타입
· -y : LV name
· testvg : Volume group 이름
· 1G : 생성하고자 하는 용량
※ 아래의 명령어는 "test_lv" 생성 후, LV 생성정보.
3) Filesystem 생성
▪ #crfs -v jfs2 -d test_lv -m /test -A yes
· -v : 파일시스템 타입
· -d : LV name
· -m : Filesystem mount point
· -A : Filesystem Automount
4) 파일시스템 생성 전체 단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