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 

 
• Written by Jung Byung Wook
 

 


0. 목차

  • AIX HBA  Port 링크 상태 및 포트 스피드 확인
  • HBA 펌웨어 버전 확인
  • HBA 드라이브 버전 확인

1. fcstat 명령어로, 지원속도 / 동작속도 / 링크 상태 확인

  • 설명 : 현재 운영체제의 fc port의 지원속도 / 현재 동작중인 속도 / 링크 상태(Up/down)을 확인할 수 있음.
1
2
3
4
[root@jbw-aix /]# # fcstat fcs0 | egrep -"speed|attention"
Port Speed (supported): 8 GBIT
Port Speed (running):   8 GBIT
Attention Type:   Link Up
 
jbw
 

2. HBA카드 펌웨어 버전 확인

    • lsmcode와 lscfg/fcstat의 펌웨어 버전이 서로 다르게 보이는 것은 lsmcode는 10진수로, lscfg/fcstat은 16진수로 표기
    • 확인1 : lsmcode 명령어로 확인
      • 펌웨어 버전 : 203305
1
2
3
4
5
6
7
[root@jbw-aix /]# # lsmcode -d fcs0
DISPLAY MICROCODE LEVEL
fcs0    8Gb PCI Express Dual Port FC Adapter (df1000f114108a03)

The current microcode level for fcs0 is 203305.
 
Use Enter to continue.
 
jbw
 
  • 확인2 : lscfg 명령어로 확인
    • 펌웨어 버전 : 2.03X5
1
2
[root@jbw-aix /]# #lscfg -vpl fcs0 |grep -i za
        Device Specific.(ZA)........U2D2.03X5
jbw

 

    • 확인3 : fcstat 명령어로 확인
      • 펌웨어 버전 : 2.03X5
1
2
[root@jbw-aix /]# fcstat fcs0 | grep -i za
ZA: U2D2.03X5
jbw

 


3. HBA카드 드라이버 버전 확인

  • 대체적으로 AIX OS Level과 매칭되며, 이는 OS버전과 하드웨어 상호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함. (다른 경우도 존재)

 

  • 확인 : Device Type 확인후, 해당 Device Type의 드라이버 파일셋 조회
    • "lslpp -l | grep -i df1000f114108a03"로 조회했을 때, grep 조건식 때문에 버전이 안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파일셋을 지정해서 조회해보는 것을 권장 
1
2
3
4
5
6
7
8
9
10
11
[root@jbw-aix /]# lsdev -Cc adapter |grep -i fcs
fcs0    Available 01-00 8Gb PCI Express Dual Port FC Adapter (df1000f114108a03)
fcs1    Available 01-01 8Gb PCI Express Dual Port FC Adapter (df1000f114108a03)
 
[root@jbw-aix /]# lslpp -l devices.pciex.df1000f114108a03.rte
  Fileset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Level  State      Description
  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ath: /usr/lib/objrepos
  devices.pciex.df1000f114108a03.rt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7.2.4.0  COMMITTED  8Gb FC PCI Express Dual Port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Adapter Device Software
jbw

 

반응형

'GENERAL > Dev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IX] HBA 포트의 WWN 확인  (0) 2024.07.15
Posted by 정병욱

반응형

 

 
• Written by Jung Byung Wook
 

 


0. 목차

  • AIX HBA 포트의 WWN 확인

1. lscfg 명령어로 확인

  • 설명 : HBA 포트의 WWN을 확인하는 첫번째 방법
1
2
[root@jbw-aix /]# lscfg -vl fcs0 | grep -i network
   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C980DBE8
jbw

 

  • 스크립트1 : 전체 HBA Port(FC Port)의 WWN 확인
1
2
3
4
5
[root@jbw-aix /]# # for i in $(lscfg |grep fcs |awk '{print $2}'); do echo $i && lscfg -vl $i|grep Network;done
fcs0     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ABCD1234
fcs1     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EFGH4567
fcs2     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IJKL88900
fcs3     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ABEF4567
 
jbw

 

  • 스크립트2 : 전체 HBA Port(FC Port)의 WWN 확인
1
2
3
4
5
[root@jbw-aix /]# # lsdev -Cc adapter |grep -i fcs | awk '{print "lscfg -vpl",$1 " |grep -i network"}' |sh
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ABCD1234
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EFGH4567
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IJKL88900
Network Address.............10000000ABEF4567
 
jbw

2. fcstat 명령어로 확인

    • 설명 : HBA 포트의 WWN을 확인하는 두번째
1
2
[root@jbw-aix /]# # fcstat fcs0 | grep -"port name"
  World Wide Port Name: 0x10000000C9A8C4A6           <--adapter WWPN
jbw

 

  • fcstat 명령어에서 Display 항목중 "World Wide Node Name" 과 "World Wide Port name"이 있다.
    • World Wide Node Name [WWNN]
      • FC 어댑터의 고유 식별자
      • SAN Network에서 어댑터(노드)의 식별 및 관리목적으로 활용됨.
      • 일반적으로 SAN 조닝시, 사용되지 않음.
    • World Wide Port Name [WWPN]
      • FC 어댑터의 특정 포트의 고유 식별자
      • SAN 조닝시, 사용됨.
반응형
Posted by 정병욱

반응형

 



 
• Written by Jung Byung Wook

1. 구성환경
✔ vCetner Datastore 생성
VMWARE Version : 6.7 / 7.0

 

 


0. 목차

  • 스토리지 할당작업 전 / 후
  • 데이터스토어 생성
  • 데이터스토어 생성 확인

1. 스토리지 할당작업 전/후

  • 설명 : 내부/외부 스토리지로부터 저장장치(LUN)을 할당받은 후에 데이터스토어 생성 가능.
  • 설명 : 하기 내용은 외부 스토리지로부터 저장장치(LUN)을 할당받아 데이터스토어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.

 

1) 스토리지 할당전 (esxcli)

  • esxcli storage core device list | grep -i "hitachi fibre"
  • 기존에 HITACHI 스토리지 볼륨 4개가 할당되어있었던 상태
1
2
3
4
5
[root@esxi11:~] esxcli storage core device list |grep -"hitachi fibre"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0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1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2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3)
 
 

2) 스토리지 할당전(ESXi GUI)

  • ESXi GUI → 스토리지 메뉴 → 디바이스 탭

 

3) 스토리지 할당전(vCenter GUI)

  • vCenter GUI → 호스트 및 클러스터  → Datacenter → 클러스터 → 호스트 선택 → 구성 → 스토리지 → 스토리지 디바이스

 

4) 스토리지 인식

  • 설명1  : 별도의 스캔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인식됨.
  • 설명2 :  만약 자동으로 인식이 안되는 경우는 스토리지 별도의 스캔작업을 해줘야함.

 

5) 스토리지 할당후(esxcli)

  • esxcli storage core device list | grep -i "hitachi fibre"
  • 타벤더 스토리지의 경우에는 grep 필터 문자열을 달리 줘야함. 
  • ex) EMC / IBM
1
2
3
4
5
6
7
8
9
[root@esxi11:~] esxcli storage core device list |grep -"hitachi fibre" 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0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1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2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3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4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5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6)
   Display Name: HITACHI Fibre Channel Disk (naa.60060e8016635c000001635c00001007)
jbw

 

6) 스토리지 할당후(ESXi  GUI)

  • ESXi GUI → 스토리지 메뉴 → 디바이스 탭 

7) 스토리지 할당후(vCenter GUI)

  • vCenter GUI → 호스트 및 클러스터  → Datacenter → 클러스터 → 호스트 선택 → 구성 → 스토리지 → 스토리지 디바이스


2. vCenter에서 Datastore 생성

 1) Datastore 생성

    • vCenter GUI → 스토리지  → Datacenter  오른쪽 클릭 → 스토리지 → 새 데이터 스토어

 

 2) 유형선택

  • VMFS 선택

 

 3) Datastore 이름 지정 및 호스트지정 

  • Datastore 이름 지정 [ TEST-Datastore ]
  • 호스트  지정                 [ 호스트IP or 호스트 FQDN ]

 4) 새로 인식된 디스크 1개 지정

  • 설명  : 복수개 선택 안됨.


3. 데이터스토어 생성 상태 확인

  • 데이터 스토어 확인

 1) 신규생성 데이터 스토어 확인

  • vCenter GUI → 스토리지  → Datacenter →  데이터스토어 탭 → 신규 데이터 스토어 확인

 2) 데이터스토어 패스 확인

  • vCenter GUI → 스토리지  → Datacenter →  신규 데이터스토어 선택 → 구성 → 연결 및 다중 경로 지정 → 연결 호스트 선택
  • 스토리지와 호스트간 연결패스의 수량에 맞게 경로(패스)가 인식되어야함.
  • 2개 패스로 연결되면, 경로(패스)는 2개가 인식되어야함.

 
 

 

반응형
Posted by 정병욱